HOME | TBS뉴스센터 | 지역사회 | 영상소식 | 고성소식 | 인물/동정 | 정치활동 | 문화관광 | 기업체소식 | 사설/칼럼 | 교육청소년 | 공지사항 | 기자수첩 | 통영이야기

인물/동정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 경남교육감 출마 선언

인물/동정|입력 : 2025-11-25

image02.png

-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는 25, 경남교육감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지난 12년 동안 흔들린 경남교육을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으로 다시 세우겠다고 말했다.


그는 학교는 아이들이 꿈을 꾸고 성장 이야기를 쌓는 삶의 항구지만, 지난 세월 동안 그 불빛이 약해졌다교육 중심을 행정이 아닌 아이로 돌려놓겠다는 뜻을 밝혔다.


김 교육감 출마예정자는 교육부 차관보, 국립국제교육원장, OECD 교육국 정책분석가를 지내고, 세계 교육을 경험한 경력을 내세워 세계 공통 결론은 교육 중심이 제도가 아니라 아이, 구조가 아니라 교실, 행정이 아니라 사람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특히 지난 12년 동안 행복교육은 활동은 많았으나 문해력·사고력·수리력과 같은 기본학력은 오히려 약해졌다고 지적하고, 추락한 교권을 회복하는 문제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그는 경남 교사들은 악성 민원·폭언·폭행에 노출된 채 수업보다 대응에 더 많은 시간을 쏟아야 했다교사 안전과 존엄이 무너지면 교실도 무너진다. 교사를 바로 세우는 것이 교육 회복 첫걸음이라고 덧붙였다.


김 출마 예정자는 경남 교육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으로 경남교육 대전환을 위한 다섯 가지 전략축과 10대 공약을 제시했다.


첫째, 문해력·수리력·사고력 회복 프로젝트로 흔들린 기초학력을 바로잡고 교육 토대를 구축한다. 둘째, 교실 혁신과 교권보호체계 강화를 위해 교권신속법률대응단을 설치하고 교사·교직원 전문성을 높이는 정책을 추진한다. 셋째, 18개 시·군 맞춤형 교육전략으로 사는 곳 때문에 교육을 포기하지 않아도 되는 경남을 만든다. 넷째, 학교지역산업을 연결하는 IPS 교육클러스터를 구축해 지역과 일··미래가 연결되는 실질제 배움 체계를 조성한다. 다섯째, AI 기반 초개인화 학습체제와 PBL 중심 교육으로 아이 한 명 한 명 성장 여정을 책임지는 경남교육을 실현하는 것이 그가 제시한 경남 교육 해결 방안 주요 골자다.


김영곤 전)교육부 차관보는 행정 중심 교육에서 사람 중심 교육으로, 통제에서 신뢰로, 결과 중심에서 성장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경남교육을 다시 공동체 중심으로 세우고 아이들 이야기가 존중받는 교육으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끝으로 그는 아이의 성장과 선생님을 지키는 교육감이 되겠다.”며 교실에서 배움이 살아나고 학교에서 신뢰가 회복되는 경남교육을 만들겠다는 뜻을 밝혔다.

   

경남 교육감 중도보수 단일 후보 경선에는 김영곤 전 교육부 차관보를 포함해 8명이 참여하며, 1210~111차 여론조사로 4명으로 압축한 뒤, 1229~302차 여론조사로 최종 단일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

아래는 김영곤 출마예정자 출마선언문 전체이다.

   

김영곤 전 교육부차관보 경남교육감 출마 선언문

-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

   

존경하는 경남도민 여러분, 그리고 늘 교육을 지켜주신 선생님, 학부모님, 아울러 함께 해 주신 언론인 여러분, 반갑습니다. ) 교육부 차관보 김 영 곤 입니다.

   

저는 오늘 경남교육감 출마를 선언합니다.

지금 경남교육은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습니다.

제가 열고자 하는 새로운 대전환은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입니다.

학교는 아이들이 꿈을 꾸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며, 세상으로 나아갈 힘을 얻는 삶의 항구입니다.

그러나 지난 12년간 그 불빛은 점점 약해졌습니다.

학생 수는 빠르게 줄고, 교실의 온도는 식어가며, 학교와 교육의 힘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학교가 약해지면 지역도 약해지고, 결국 경남의 미래도 흔들립니다.

   

교육부 차관보, 국립국제교육원장, OECD 교육국 정책분석가로 일하며 저는 세계 교육의 흐름을 직접 보아왔습니다.

결론은 단순합니다.

교육의 중심은 제도가 아니라 아이입니다.

구조가 아니라 교실이고, 행정이 아니라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지난 12년간의 행복교육은 즐거움과 체험을 강조했지만, 그 과정에서 문해력·사고력·집중력은 오히려 떨어졌습니다.

우리 아이들의 학력은 전국 최하위권까지 내려앉는 역설을 낳았습니다.

활동은 많았지만 배움의 근력은 약해졌고, 아이들의 성장 이야기는 깊게 쌓이지 못했습니다.

박종훈 교육감 12년 동안 현장의 선생님들은 보호받지 못했습니다.

잦은 교권 침해, 악성 민원, 폭언과 폭행에 노출되며 선생님들은 수업보다 대응에 더 많은 힘을 빼앗겼습니다.

교사의 안전이 무너지자 교실의 신뢰 또한 무너졌고, 학교 안 구성원 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학생·학부모·교사 사이의 불신과 대립은 교육공동체의 근간을 무너뜨렸고, 교육을 유지하던 신뢰의 토대가 크게 흔들렸습니다.

   

경남교육은 지금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교육의 목적을 행복이라는 결과로 오해하는 흐름에서 벗어나, 성장을 중심에 두는 교육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합니다.

아이 스스로 만들어가는 자기 이야기를 존중하고 깊게 길러주는 교육, 점수가 아니라 배움의 흔적과 경험의 깊이로 성장의 증거를 남기는 교육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이것이 경남교육이 회복해야 할 성장 학력입니다.

이를 위해 교사의 역할을 바로 세우는 것이 첫걸음입니다.

교사는 행정이 아니라 수업과 연구에 몰입해야 하며, 저는 그 시간을 반드시 되돌려드리겠습니다.

교사가 성장하면 아이의 배움도 성장합니다.

이것이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의 출발입니다.

   

경남교육은 학력 회복’, ‘교실 혁신’, ‘지역 맞춤’, ‘돌봄·안전’, ‘미래교육이라는 다섯 축으로 재설계하겠습니다.”

이를 통해 경남교육 10대 핵심 공약을 완성하겠습니다.

첫째, 문해력·수리력·사고력 회복 프로젝트로 미래교육의 새로운 학력의 기초를 세우겠습니다. 흔들린 기초학력을 다시 세우겠습니다.

둘째, 교실 혁신과 교사·교직원의 전문성, 그리고 교권신속법률대응단을 설치해 교직원을 교육감이 직접 지키겠습니다.

셋째, 18개 시군 맞춤형 교육전략으로, 아이들이 어디에 살든 교육 때문에 떠나지 않는 경남을 만들겠습니다.

넷째, [학교지역산업]을 연결하는 IPS 교육클러스터로, 배움이 지역의 일··미래와 직접 연결되는 교육을 실현하겠습니다.

다섯째, AI 기반 초개인화 학습 체제를 구축하고, PBL 중심의 미래교육을 통해 아이 한 명 한 명의 배움과 성장의 여정을 끝까지 책임지는 경남교육을 만들겠습니다.”

   

사랑하는 도민 여러분, 이제 교육의 중심을 행정에서 사람으로, 통제에서 신뢰로, 성과에서 성장으로 옮겨야 합니다.

배움과 성장, 이야기가 있는 경남교육은 학교를 다시 공동체의 중심으로 세우고, 아이의 이야기가 존중받는 교육으로 나아가는 새로운 약속입니다.

   

저 김영곤은 아이의 성장과 선생님을 지키는 교육감이 되겠습니다.

교실에서 다시 배움이 살아나고, 학교에서 신뢰가 다시 숨 쉬는 경남교육. 우리는 다시 시작할 수 있습니다. 함께 가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통영방송 gsinews@empas.com

ⓒ 통영방송 tbs789.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작성자 : |비밀번호 :

0/300bytes 

최근뉴스

TEL. 070)7092-0174

09:00 ~ 18:00 (주말, 공휴일 휴무)

회사소개
  • 상호명 : 내고향TV 통영방송789 , 대표 : 한창식, 사업자번호 : 609-20-77639, 등록번호 : 경남 아 00206
  • 주소 : 경상남도 통영시 중앙로 304(무전동) , Email : gsinews@empas.com
  • 대표전화 : 070)7092-0174 , 정보보호책임자 : 한창식(gsinews@empas.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한창식
  • copyright ⓒ 2012 통영방송789. All rights reserved.